LTE = Long Term evolution
4세대 이동통신
전자제어 ECU (Electronic Control Unit)
하나 자동차에 ECU 100개이상 -> 소프트웨어 중요성도 증가
복합 임베디드, 데이터 통신의 중요성 부각 -> In-Vehicle Network (IVN)
Local Interconnect Network , LIN 20kb 이하 늦은 통신, 파워윈도우.. etc
차량내의 네트워크 종류
자율주행에 있어서, IoT가 많이 필요함, 특히 센서들
실제로 차량 한대에 초음파 센서가 가장 많이 달리고 있음
그리고 카메라모듈, 색갈뜽 정보를 얻을수 있는 유일한 센싱모듈을 그래픽 처리장치를 통해 글자들을 인식하며 방향, 노선 등 정보 파악 -> 카메라 모듈 반드시 필요
센서가 획득한 정보를 유무선통신 (주로 무선통신)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면 전달, 처리 등이 가능
데이터를 전송과 저장기능 포함 (보통 클라우드형)
앞으로 나올차량은, 테슬라
소프트웨어가 전부다 컨트롤 해야함 SDV가 무조건 있어야 완전 자율주행 가능 -> 움직이는 지능형 컴퓨터
ECU (Electronic Control Unit)
- 전자 제어 장치로, 자동차의 특정 기능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컴퓨터입니다.
- 예: 엔진, 브레이크, 트랜스미션, 조향, 에어백 등
- 종류:
- Engine ECU (또는 ECM, Engine Control Module): 연료 분사, 점화 타이밍 등을 제어
- TCU (Transmission Control Unit): 변속기 제어
- ABS ECU: 브레이크 시스템 제어
- Airbag ECU: 충돌 시 에어백 전개 제어
👉 대부분의 현대차에는 수십 개의 ECU가 있음.
✅ DCU (Domain Control Unit 또는 Display Control Unit)
- 최근 차량의 고도화된 전자화/통합화 경향에 따라 등장한 개념
- 여러 개의 ECU를 도메인(기능군) 단위로 통합 제어하는 상위 개념의 ECU
1. Domain Control Unit (도메인 제어 유닛)
- 예전엔 각각의 ECU가 따로 존재했지만, 요즘은 다음처럼 통합:
- Powertrain DCU: 엔진 + 변속기 + 배터리 등 파워트레인 관련 ECU 통합
- ADAS DCU: 자율주행, 센서, 카메라 등 ADAS 기능 통합 제어
- Body DCU: 도어, 창문, 조명 등 바디 관련 기능 통합
- Infotainment DCU: 오디오, 내비게이션, 디스플레이 등 통합
2. Display Control Unit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
- 차량 내 디지털 디스플레이 (계기판, HUD, 센터패널 등)를 제어하는 전용 ECU
- 요즘 차량에선 AR HUD, 곡면 OLED 계기판, 인포테인먼트 UI 등 고성능 디스플레이가 많아짐 → 고속 그래픽 처리를 위한 DCU 필요
🔧 요약
ECU | Electronic Control Unit | 차량의 특정 기능을 개별적으로 제어 |
DCU | Domain Control Unit (또는 Display Control Unit) | 여러 ECU를 기능별로 통합 제어하거나, 디스플레이 전용 제어 |
센싱모듈
차량용 반도체
5,6G 이동통신
차량 IoT
인공지능, 빅데이터
--> 경쟁력, 미래 자동차 기술들
Samsung & 하만 -> connected car 전장 사업 삼성이 진출, 스피커만가지고 회사가 커 나가는데 한계가있어, 삼성과 협업해서 자동차 전장쪽으로 나가는걸로
LG & Magna -> 파워트레인
이 처럼 초 거대 기업들이 자동차 전장부품에 진출 하느중
LIN 통신, 전장부품들 간 직렬 네트워크 (20kb 저속성 네트워크 통신), 긴급한거 X
Local Interconnect Network
UART :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직렬통신 : RS-232, RS-422, RS-485
Sync Break : 메세지부분에 , initiation 을 알려줌. 일 시작!, 마스터 테스크만 전송
Slave가 동기 시간을 맞출 필요가있음. 슬레이브가 거기에 맞춰춤. bit 시간대로
Sync field 에는 0101010101이렇게 8비트 상태변화 있음 + start/stop bit = 10bit 전송
ID filed에, 누가 이 메세지에 반응할지를 결정하는 필드 -> 이 데이터만 가지고도 슬레이브들이 response 할지 안할지 결정할수있음
'Networking > Network General (Anyth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율주행차 통신 기초 - 3 (1) | 2025.07.17 |
---|---|
자율주행차 통신 기초 - 2 (1) | 2025.07.16 |
802.1x protocol , Port-Security (0) | 2025.04.17 |
RADIUS (AAA) (0) | 2025.04.17 |
SPAN/RSPAN/ERSPAN (0) | 202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