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lueable (변수)
자료형 (Data Type)
- Integer (숫자)
- String (문자열)
사칙연산은 문자열에서도 할 수 있다.
문자 + 문자는 가능인데 , 문자 + 숫자는 안됨. 그 말은 같은 타입끼리 사칙 연산 가능하다는 것.
만약 문자 + 숫자 조합일 경우, 숫자를 문자로 바꾸던지, 문자를 숫자로 바꿔야 함(Casting 한다고 함)
Boolean (True or False)
조건문(if, else)
~가 참이면 ~를 해라
~가 거짓이면 ~를 해라
도 and 랑 or를 써서 더 조건을 붙일 수 있음
위의 조건을 OR로 바꿔서 쓰면 Hello 라고 뜸, OR은 하나의 조건만 맞아도 넘어 가기 때문
Fucntion (함수)
쉽게 얘기해서, 반복되는 코드들을 그룹으로 모아 놓은 것을 함수 라고 한다
def 뜻은 definition 이란 뜻임
만약, 철수 가 아닌 알렉스로 , 영희가 아닌 윤하로 이름을 바꾸고 싶으면? 함수에서 Parameter, 인자 를 쓰면됨
%s = String , %d = integer 숫자
근데 여기서 나이도 바꾸고 싶다?%d값 넣어서 사용하면 됨
Fuction 안에 값을 넣어야 하는 경우 return 써서, 그 변수 안에 return 값을 넣어주는 역할
이렇게 fuction 만들어서, 그 function에 값을 넣어서 result 에 값을 return 해서 print 하면 3이 나오는 원리
return을 안쓰고 그냥 print를 쓰면, d라는 변수에 아무것도 안들어가기때문에 None이 나옴
즉 dsum, function 값은 print 되서 나오지만, 그 밑에 print(d)값은 d에 값이 없기때문에 None으로 나오는 것, 꼭 reutrn result 써줘서 변수에 그 결과값을 넣어줘야 코드가 깔끔해짐
'Service > Cod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ogle Python Automation Certification - Week 1 (0) | 2022.02.01 |
---|---|
Object Oriented Programming 다시 (0) | 2022.01.26 |
코딩 1시간 워니 - 3 (0) | 2021.12.27 |
코딩 1시간 워니 - 2 (0) | 2021.12.26 |
나도코딩 Python - 1 (0) | 2021.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