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ervice/Coding

나도코딩 Python - 1

by 포항돼지 2021. 12. 9.

숫자형 자료형 Integer 

자료형(숫자형)

F5눌러서 디버깅 실행

잘 출력되는걸 볼수있다.

음수도 출력 가능 

소수점도 출력가능

항상 저장하고 디버깅하자

덧셈연산, 곱셈, 나누기 모두 가능

문자형 자료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작은 따옴표, 큰따옴표 사용해서 string을 읽을수 있게 해야함

문자열과,숫자열을 계산을해서 출력하는 방법도 존재함

ㅋ을 한번쳤지만 *9해서 9번 나옴

 

Boolean 자료형

Boolean은 참과 거짓을 의미한다

이렇게 False라고 나옴
5<10 했을때 True가 나옴
이렇게 직접적으로 True/False print로 표현가능(Bool자료형으로 자동으로 잡힘)
이렇게 not으로도 표현가능
False로 나옴
5는 10다 작은데 크다라고 얘기하고 not을 붙이니
True 로 나옴 (False ->not -> Ture)

변수

 

이렇게 직접적으로 STring으로 쭉 쓰는 방법이 있는데, 강아지 이름이 바꼇을 경우를 대비, 변수를 써야함
이렇게 변수 지정해서 한번넣어보자

is_adult의 값은 age 값이 3보다 크거나 작으면 true 가는 bool값

정수형을 문자형으로 바꿔줘야 print가 됨+age+로 하면 안나옴str(age)로 감싸줘야 나옴
완전체로 출력, str 확인하기
이렇게 출력값이 나옴

 

변수는 맨 위에 설정 할수도 있지만, 중간에 설정 할수도 있음.

 

이렇게 hobby라는 변수값이 중간에 들어갈 경우, "수영"이였던 hobby가 "공놀이"로 바뀌어서 출력됨, 젤 나중값이 최고 값

 

Plus가 아닌 콤마로도, 문장을 합칠수가 있음

 

콤마를 쓸경우, 정수형을 문자형으로 안바꿔줘도 그냥 사용가능 str()안써도됨

 

그리고 Comma가 들어가면 무조건 하나씩 띄어쓰기가 됨

 

주석# 코드에 포함은 되어있지만, 실제로 실행은 안되는 거

 

여러 문장에대해 주석을 표현 하고싶으면 ''' 세게 ''' 이렇게 하면 한번에 모두 주석처리가 됨

문장 다 잡은 다음 CTL + / 누르면 주석처리 됨

 

 

연산자

 

 

 

1 != 3같지않다 는 True 거기에 not 이 붙어서 False가 나옴

 

AND 연산자, 둘다 맞아야함
OR연산자, 하나라도 맞으면 출력

 

 

간단한 수식

number += 2 라는 수식어의 뜻은 number = number + 2 라는 수식과 동일한 뜻, 값임
이렇게 빼기,덧셈, 다 가능
0 나왔음
이렇게 몫 구하는거도 가능 , 8나옴

 

숫자 처리 함수

 

Math library 불러와서 코딩도 가능, 

from math library 부터 모든것을 import 하겠다, 즉 모든것을 사용 하겠다는 뜻
루트 16 =4 라서 4나옴

랜덤 함수

Random Library 에서 모든 것 Import 시켜서 사용

 

실행 할때마다 다른 값 나옴

아무수나 뽑아서 랜덤하게 쓰는함수

뒤에 소수점을 보기싫다? 앞에서 정수값만 보고싶다? 그럼 int()로 감싸주면 됨

0이 나오는걸 배제 하고싶다? 뒤에 연산자에 +1 넣어주면 됨

1~45 까지 숫자를 정해놓고 출력하고싶다? 아래와 같이 하면 됨

 

근데 이렇게 일일이 붙이는게 귀찮으니까 range 함수 쓰면됨

 

이렇게 미만으로 때리려면 randrange 쓰면되

근데 헷갈리니까 양측 숫자 포함시키려면 randint 쓰면됨

 

 

 

퀴즈 2

 

정답
안됨
print 함수 써서 안됨
안됨
print 함수 안쓰고 date = randint(4,28) 넣고 print 에 넣으면 되는거 확인

문자열

 

콤마 세게 쓰면 묶어서 문자열 출력 가능

 

Splicing (문자열 잘라서 print out 하는 거)

이렇게 주민등록 번호가 있는 경우, 99/01/20 으로 자르고 12/11 남여 구별 하려면 Splicing 을 꼭 해야함

개념은 List로 문자열을 인식 시켜서, 그 값을 대입 하는 거 인듯, 참고로 문자열은 0번째부터 시작함

birth 에서 앞에 두자리 print 하기위해서 몇번쨰 부터 몇번째 까지 식을 쓰려면 0:1 이런식으로 list 에 대입

근데 실제 출력하는 자리수 뒷까지 해줘야함 , 바로 앞 직전 값 까지 

 

앞뒤 계산하는게 귀찮으면 그냥 저렇게 숫자 안넣으면됨
print(wayne[-7:] 하면 맨뒤에 7자리 부터 끝까지 print out

문자열 처리 함수

python.lower() 하면 소문자로 나오게 처리하는 함수

python.upper() = capital로 나오게 해주는 함수

python 변수의 0번째 문자열이 캐피탈인지 질문 하는 script
문자열 길이 체크 하는 함수
python 문자열 안에서 Python 문자를 Java로 Replace 해주는 script

index 함수 써서 특정 spell이 어디에 위치 하는지 확인

결과값은 5 나왔음 = 5번째에 n이 위치한다는 뜻

index = python.index('n' , index + 1) 이 스크립트 뜻은 처음 n 찾은 문자열 뒤에 부터 또 검색 한다는 뜻임

비슷한 함수로는 find 함수가 있음

두 함수의 차이점은, 

find 는 찾는 문자열이 없는 경우, -1 로 값을 돌림

index는 그냥 에러를 내버림

즉 index를 써서 문자열에 오류가 생긴 경우, 뒤에 어떠한 명령어가 와도, 실행이안됨. 왜? 프로그램이 에러가 났으니까

마지막으로 count 함수가 있는데, count 함수는 이 문자열에서 "n"이라는 문자가 몇개 들어가 있는지, 알려줌

 

'Service > Cod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ogle Python Automation Certification - Week 1  (0) 2022.02.01
Object Oriented Programming 다시  (0) 2022.01.26
코딩 1시간 워니 - 3  (0) 2021.12.27
코딩 1시간 워니 - 2  (0) 2021.12.26
코딩 1시간 워니 - 1  (0) 2021.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