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시작전 Docker를 깔아야되는데, 뭐 WSL Error 뜨면서 안됬었다.
검색으로 좀 찾아보니 control Pannel 에서 WSL, Linux, Hyper vising option activate 시키라고 해서 해봤는대도 안되서 GPT에게 물어보니 Bios에 Hypervising option 이있다고, 그거 켜야된다그래서 그거 키고, Docker service restart 해보니
wsl --shutdown
net stop com.docker.service
net start com.docker.service
잘된다.. 역시 GPT가 짱이다
C:\Users\Wayne>docker ps
CONTAINER ID IMAGE COMMAND CREATED STATUS PORTS NAMES
C:\Users\Wayne>docker login
Authenticating with existing credentials...
Login Succeeded
docker Busybox == lightweight 리눅스 유틸리티, Docker Image , Alpine Linux 보다 가벼움
Docker에서 BusyBox를 사용하는 이유
- 작은 크기 (~1MB) → Alpine Linux보다도 가벼워서 빠르게 실행 가능
- 기본적인 Linux 명령어 포함 → sh, echo, wget 등 간단한 작업 가능
- 빠른 컨테이너 실행 → 단순한 작업이나 테스트용으로 사용하기 좋음
- 디버깅 및 네트워크 테스트 → 컨테이너 내부에서 최소한의 도구로 환경 점검 가능
언제 Docker BusyBox를 사용할까?
- 빠른 테스트: 리소스를 적게 쓰면서 간단한 작업을 할 때
- 네트워크 디버깅: wget, ping 같은 명령어로 네트워크 점검할 때
- 가벼운 환경 필요할 때: 전체 리눅스 배포판이 필요 없는 경우
touch == file creation command
mkdir == directory creatoin command
Root account
- Root account is the most powerful user account, often refereed to as the superuser account
- This account has unrestricted access to all command, files, and resources on the system.
- recommand not login as root, instead use `sudo` command
FYI,
- root directory is /, that is top-level directory
- root home directory -/root
'Server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exam preparation & study (0) | 2025.04.17 |
---|---|
Linux - 1 (0) | 2022.01.11 |
Linux Command Line Basics - 1 (0) | 2021.07.13 |